HTTP
월드 와이드 웹(WWW)의 토대라고 볼 수 있고
웹에서 정보를 요청하고 제공하는 데 사용되며
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 이루어지는 요청/응답(request/response) 프로토콜입니다.
더보기
World Wide Web, WWW, W3
인터넷을 기반으로한 정보 및 멀티미디어 리소스를 공유하고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, 시스템
웹은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전파하고 상호작용하는 플랫폼으로 볼 수 있습니다.
www를 공부하면서 URL, HTTP, HTML에 대해서도 찾아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.
HTTP 요청
HTTP 요청은 일반적으로 클라이언트로부터 서버로 전달됩니다 웹 리소스를 요청하는데 사용되구요
다음과 같은 정보가 포함된다고 합니다!
- HTTP 메서드 (HTTP Method): 요청의 목적을 나타내는 메서드
- URI (Uniform Resource Identifier): 요청하는 리소스의 식별자. URI는 요청하는 리소스의 위치와 경로를 지정합니다.
- HTTP 버전
- 헤더 (Headers): 요청과 관련된 메타데이터를 포함
- 요청 본문 (Request Body): POST 또는 PUT과 같은 메서드에서 활용
HTTP 메서드
HTTP 요청이 쿼리된 서버에서 기대하는 작업
주요 메소드
- GET :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요청하는 데 사용
- POST: 서버로 데이터를 제출하고 업데이트하는 데 사용 (등록하는데 사용)
- PUT : 서버에 새로운 리소스를 생성하거나 기존 리소스를 업데이트하는 데 사용
- PATCH : 리소스의 '일부'를 수정하기 위해 사용 (PUT은 '전체')
- DELETE : 특정 리소스를 삭제하기 위해 사용
GET
https://www.example.com/search?query=example
이런식으로 URL을 통해 검색이 진행되는데 이는 웹브라우저를 통한 GET 요청으로 볼수 있습니다!
- GET /user/1234 이런 방식으로 정적인 데이터를 조회할 수도 있구요
- 맨 위의 예시처럼 요청 URL 뒤에 ?~ 쿼리파라미터를 활용해서 동적인 데이터 조회도 가능합니다.
요청 본문을 가지지 않으며, 캐시 가능하고 무해한 메서드입니다.
POST
클라이언트가 body에 등록할 정보를 JSON 형태로 담아 클라이언트에 전송하게 됩니다.
정보를 받아서 JSON으로 넘겨야 할 경우도 GET말고 POST를 씁니다.
PUT
리소스를 수정, 대체하게 됩니다.
- 기존 데이터가 있을 경우 완전히 대체하게 됩니다.
- 기존 데이터가 없다면 새롭게 생성하게 됩니다.
- 특정 데이터를 수정해야 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경로를 지정해줘야 합니다.
user/123: user의 123의 데이터를 대체하겠다~
DELETE
특정 데이터를 삭제
엔드포인트: /users/123 -> 이런 경우는 123 유저를 삭제할 것이다 라는 의미
'T I L & Post > C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23.10.10/TIL] OAuth 2.0 이론적 접근 (1) | 2023.10.11 |
---|---|
[23.09.27/TIL] 인증과 인가 (0) | 2023.09.27 |
[23.09.12/TIL] ADT & UML (0) | 2023.09.13 |